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5

유리는 고체인가? 액체인가? 유리는 고체인가 액체인가? 유리는 유리를 구성하는 원자의 주기성이 없는 비정질(amorphous) 형태의 물질입니다. 인터넷을 보다보면 종종 오래된 유리의 상태를 보며 유리를 고체로 분류할지 액체로 분류해야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볼 수 있습니다. 유리를 액체라고 생각하는 이유 유리는 잘 깨어지긴 하지만 단단합니다. 육안으로 보기에도 명확한 모양과 부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액체처럼 흐르지 않습니다. 유리를 조금 더 화학적으로 설명하면, 유리는 이산화규소(SiO2) 분자가 주기성을 가지는 결정격자에 존재하지 않고 랜덤하게 패킹되어 있는 비정질 고체입니다. 종종 사람들이 유리가 액체라고 생각한 이유는 오래된 유리를 관찰하고 생긴 오해 때문입니다. 오래된 유리를 보면 유리의 상단보다 바닥이 더 두껍기 때문에 유리.. 2020. 6. 16.
물질의 4가지 상태에 대해서 물질의 4가지 상태에 대해서 물질은 고체, 액체, 가스 또는 플라즈마의 네 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보통 열 에너지를 가하거나 또는 제거하면 물질의 상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예로, 물의 고체 상태인 얼음에 열을 가하면 액체인 물이 되고 더 열을 가하면 수증기가 됩니다. 물질의 상태란? "물질"이라는 단어는 질량이 있으며 공간을 차지하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물질의 어떤 원소의 원자로 구성됩니다. 이 원자들은 서로 조밀하게 결합할 수도 있고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흩어질 수도 있습니다. 물질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직접 보거나 느낄 수 있는 것을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고정된 모양을 유지하며 겉이 딱딱한 물질을 고체라고 합니다. 부피는 유지하지만 그 모양은 유지하지 않.. 2020. 6. 16.
방사성 원소의 종류 방사성 원소의 종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방사성 원소의 종류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모든 원소들은 방사성을 띄는 동위원소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충분한 에너지의 중성자가 원자에 충돌하면 그 원자는 불안정 해지고 붕괴됩니다. 대표적인 예는 수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인 삼중수소(3H, tritium)가 있습니다. 삼중수소의 원자핵은 양성자 한 개와 중성자 두 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연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합니다. 아래의 표에는 안정적인 동위 원소가 없는 원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원소 이름의 오른쪽에는 가장 안정적인 동위원소와 그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표기하였습니다. 참고로 원자번호가 증가한다고해서 반드시 그 원자가 더 불안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과학자들은 주기율표 상에서 원소들을 놓고.. 2020. 6. 15.
강산(Strong acid)의 정의와 종류 강산의 정의와 종류 수용액 상에서 완전히 해리되거나 이온화 산을 강산이라고 합니다. 즉 효율적으로 양성자인 H+를 내어놓을 수 있는 화학물질이라는 뜻입니다. 강산은 수용액 안에서 양성자를 잃고 주위의 물분자에 의해 포집되며 하이드로늄 이온을 형성합니다. 그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HA (aq) + H2O → H3O+ (aq) + A- (aq) 이양성자 및 다양성자 산은 하나 이상의 양성자를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산"의 pKa값과 반응은 단지 첫번째로 내어놓은 양성자만 고려합니다. 대체로 강산은 작은 pKa, 즉 큰 Ka를 갖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부분의 강산은 부식성이 높은 경우가 많지만 의외로 일부 초강산은 부식성이 높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반대로, 약산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부식성이.. 2020. 6. 15.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플라스틱 용기, 가방에서부터 플라스틱 장난감까지 우리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곳에서는 폴리에틸렌(PE)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폴리에틸렌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폴리에틸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폴리에틸렌(PE)이란 무엇인가요? 폴리에틸렌은 화학식 C2H4의 에틸렌(또는 에텐)이라고 불리는 단량체(모노머)의 중합으로 만들어진 폴리머(고분자) 물질입니다. 대게 지글러-나타 또는 메탈로센이라고 불리는 촉매의 존재 하에서 부가중합 또는 라디칼 중합으로 만들어집니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은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진 가볍고 튼튼한 열가소성 수지로 매년 수천만톤의 생산량을 자랑하는 가장 널리 생산되는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 2020.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