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료공학35

밀도와 비중의 차이 밀도와 비중의 차이 밀도와 비중은 모두 질량과 관계가 있는 물리량으로, 다른 물질과 비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물질 고유의 특성입니다. 그러나 밀도와 비중은 동일한 측정 값이 아니며 차이점이 있습니다. 비중은 표준(일반적으로 물)물질의 밀도와 관련된 상대적 밀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단위가 없습니다. 이와 달리 밀도는 정의에 따라 부피 당 무게로 표시되기 때문에 단위가 있는 물리량입니다. 밀도 밀도는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의 속성이며 단위 부피 당 질량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보통 가장 널리 쓰이는 단위로는 입방 센티미터 당 그램, 입방 미터 당 킬로그램을 이용하며 서구권에서는 입방 인치 당 파운드 단위로 표시하기도 합니다. 밀도는 정의에 따라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됩니다. ρ = m / V 여.. 2020. 7. 15.
액체괴물의 원리와 성분 액체괴물의 원리와 성분 요즘 아이들에게 인기가 있는 장난감 중 하나인 액괴는 액체괴물의 줄임말로, 마치 슬라임과 같이 흐름성이 있지만 어느정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보이는 점성 물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액괴, 즉 액체괴물이 어떠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액체괴물(액괴)이란? 액괴는 마치 액체처럼 흐를 수 있지만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물 또는 기름과 같은 흐름성이 없고 점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액체와 같은 흐름성이 있기에 액체괴물이라 불리지만 일반적인 액체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액체괴물을 좀 더 전문용어로 표현한다면 점도를 비뉴턴유체(non-newtonian fluid)로 바꾸는 물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액체괴물은 전단력, 또는 .. 2020. 7. 11.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DF란 무엇인가? PVDF란 Polyvinylidene fluoride(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라고 불리는 불소계 고분자 물질입니다. PVDF는 결정성과 열가소성을 가져 가공성이 좋으며 150˚C 아래의 온도에서는 내화학성,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압전특성도 보여주는 우수한 물성의 재료입니다. 이러한 우수한 내화학성 및 압전성은 교대로 교차되어 중합된 CH2기와 CF2기의 극성에 기인합니다. PVDF는 용융시켜 원하는 모양으로 쉽게 가공이 가능하며 사출 및 압축 성형을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우수한 내화학성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펌프, 밸브, 파이프, 튜브 및 피팅과 같은 화학 공정장비의 부품으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그 외에 고급 케이블을 사용하는 음향 또는 비디오 장치의 케이블 재.. 2020. 7. 8.
맥신(Mxene) 맥신(Mxene)이란 무엇인가? 맥신(Mxene)은 2011년에 처음 발견된 2차원 평면구조를 가지는 세라믹 물질로, 전이금속에 탄소 또는 질소가 결합되어 있는 원자 두께의 층으로 구성된 신물질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맥신은 전이금속에 의한 금속성질(전도성)을 가지면서도 말단에 존재하는 수산화기나 산소로 인해 친수성을 띄는 특이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맥신은 MAX라고 불리는 결정성 물질로부터 만들어집니다. MAX라는 결정성 물질은 Mn+1AXn의 실험식을 가지는 육방정계의 층상 구조형 탄화물 또는 질화물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M은 전이금속, A는 13족 또는 14족 원소, X는 탄소나 질소이며 n은 1에서 4 사이의 정수입니다. 참고 MAX Phase (결정상) 전이금속과 13 또는 14족 원소와 .. 2020. 7. 1.
리튬이온배터리 양극 활물질의 종류와 특성 1원계 양극 활물질 리튬 코발트 산화물 (LCO, LiCoO2) 리튬 코발트 산화물(LCO)는 층상형(Layered) 결정구조의 양극산화물 중 가장 먼저 사용된 양극 활물질입니다. 층상형 격자자리에 위치한 리튬 이온(Li+)은 충전 중 탈리(delithiation)되어 리튬 결핍조성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코발트(Co)의 평균 산화수는 탈리 과정에서 잃은 리튬 이온의 산화수만큼 만큼 증가합니다. 이를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LiCoO2 → Li1-xCoO2 + xLi+ + xe- (0 2020.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