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5

온도(Temperature)와 열(Heat)의 차이 우리는 모두 어떤 물체를 가열하면 온도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또 감기에 걸려 '체온'이 오르면 '열이 난다'고도 합니다. 열과 온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종종 이것을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온도와 열은 과학적 관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온도(Temperature)와 열(Heat)의 정의는? 간략히 말하면, 온도는 물질 내 분자 또는 원자의 평균 운동에너지를 나타내면 열은 물질 내 분자 또는 원자의 총 운동에너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온도와 열의 단위를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온도의 단위는 켈빈(K)이며 열의 단위는 줄(J) 또는 칼로리(Cal)입니다. 열의 단위는 에너지인데 반해 온도의 단위는 에너지가 아닙니다. 온도는 단일 계(시스템)에 포함.. 2020. 5. 19.
액체 질소(Liquid Nitrogen)에 대하여 액체 질소는 단어 그대로 기체 상태가 아닌, 유동성이 있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질소의 한 형태로 냉각 및 저온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액체 질소에 대한 여러 사실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액체 질소에 대하여 액체 질소는 매우 차갑습니다. 대기압에서 질소는 63K ~ 77.2 K (-207°C ~ -195.8°C)의 온도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액체질소를 취급하는 일반적인 상황은 액체질소의 끓는 점보다 높기 때문에 액체 질소는 마치 끓는 물처럼 보입니다. 대기압에서 끓는 물의 온도는 항상 100°C인 것처럼 대기압에서 액체 질소의 온도는 항상 -195.8°C입니다. - 액체 질소는 상업적으로 액화시킨 공기의 분별 증류를 통해 생산됩니다. - 기체상태의 질소와 마찬가지로 액체 .. 2020. 5. 17.
겨울철 전기차 주행을 위한 7가지 팁 전기차에게 겨울은 시련의 계절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아시는 바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대용량 배터리의 전기차라고 할지라도 편도 250 km 이상의 장거리 주행이 크게 부담됩니다. 현재 판매되는 전기차를 기준으로 겨울철 주행거리가 줄어들지 않는 모델은 없습니다. 추후 이러한 문제를 개선시킨 차량이 개발되겠지만 지금은 이 현실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다만 아래에 말씀드리는 몇 가지 팁들을 활용하시면 겨울철 전기차 주행 시 주행거리의 압박에서 조금이나마 더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왜 겨울에는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줄어들까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아래의 두 가지 요인이 결정적입니다. 현재 판매되는 순수 전기차는 대부분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2020. 5. 17.
표백제를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표백제를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가정용 표백제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오염된 표면을 소독하며 더러운 얼룩을 제거하고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표백제의 주의사항을 보시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거나 애완동물이 먹지 못하게 하라고 적혀 있으며 취급상 주의를 해야함을 나타내는 경고표지도 함께 표기되어 있습니다. 표백제의 성분은? 유한락스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일반 가정용 표백제는 5.25%의 차아염소산나트륨과 기타 미량 첨가제가 포함된 용액입니다. 표백제는 자연적인 반응에 따른 성분 변화로 인해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정확한 양은 제품의 나이와 제품이 제대로 개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표백제는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공기와 화학.. 2020. 5. 16.
전기차 회생제동의 원리와 이해 배터리와 모터가 추가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세상에 나온지 20년이 지나고 본격적으로 전기차가 도로에서 돌아다니는 현재, 회생 제동의 개념은 이제 자동차에만 국한되지 않고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스마트 모빌리티가 확산되며 전기 자전거, 전기 스케이트 보드, 전기 스쿠터에 이르기까지 회생제동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회생제동이란?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량에는 많은 운동에너지가 있는데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해 브레이크를 밟게되면 이 운동에너지가 마찰과 함께 열에너지로 사라지게 됩니다. 결국 이 운동에너지는 감속과정에서 열에너지로 낭비되는데 회생 제동은 이 낭비되는 에너지를 다시 회수하면서 음의 토크(반대방향의 토크)를 걸어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는 제동 방식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 2020.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