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5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의 특성과 사용법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은 표백, 살균효과가 뛰어나 락스의 주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는 염소(Cl)계 화합물의 일종입니다. 상온에서 하얀 고체이며 수용액 상태에서는 연한 노란색/초록색을 띄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영장 냄새 또는 락스 냄새라고 생각되는 특유의 향이 있는 물질입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기본 정보 화학식 : NaClO CAS Number : 7681-52-9 녹는점 : 18ºC 끓는점 : 101ºC 밀도 : 1.11 ~ 1.12 g/cm3 분자량 : 75.45 용해도 : 29.3 g/100 mL (0ºC)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제법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알칼리성이며 부식성이 높은 용액입니다. 산업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 NaOH)과 염소 (Cl2)를 반응시키는 Hoo.. 2020. 3. 4.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소독제 29종 최근 사단법인 한국방역협회에서 공지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소독제 29종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소독제는 '의약외품 중 코로나바이러스 소독 가능 제품'이며 지난 1월 19일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에서 한국방역협회로 제공한 자료입니다. 승인번호 제품명 유효 성분 2719-0002 케비사이드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염화벤제토늄 2719-0003 케비와입스 이소프로필알코올(IPA) 염화벤제토늄 2719-0018 릴라이온버콘 마이크로 옥손 2719-0027 릴라이온버콘 옥손 2719-0021 인바이로트루액 클로록실레놀 2719-0026 D-125(디-125) 4급 암모늄계 2719-0031 디알에스 (DR-solution) 4급 암모늄계 2719-0033 MD-125 (엠디-1.. 2020. 3. 4.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소독제 직접 만들기 코로나19의 유행이 시작되며 마스크와 손세정제, 에탄올 구하기가 어려웠는데 요즘에는 방역을 위한 소독제를 구하기도 어렵다고 합니다. 여러 방역 업체에서 밀려드는 방역 요청으로 인해 소독제 제조업체의 재고가 거의 바닥난 상황입니다. 이에 대한 약사회, 보건소에서 가정에서 자가 소독을 위한 소독제 제조 방법을 안내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제가 거주하는 경기도 김포시 또한 시청 홈페이지에 '가정에서 자가 소독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자가소독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가정용 락스를 이용한 소독제 만들기 소독 약품 : 차아염소산나트륨 0.05% (500 ppm) 희석 방법 : 5% 락스(유한 락스) 기준 물 1L당 락스 10 mL 첨가 (100배 희석) 차아염소산나트륨(So.. 2020. 3. 4.
불산(Hydrofluoric Acid, HF)이 위험한 이유 불산이란 무엇인가? 작년 여름, 일본 정부가 대한민국을 상대로 반도체용 고순도 불산(플루오린화 수소, 불화수소)의 수출을 규제하여 큰 논란이 있었습니다. 반도체 공정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었는데 일본은 이를 무기삼아 한국을 때렸지만 생각만큼 한국이 타격을 입지 않았고 오히려 수입다변화와 국화를 촉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규제가 되었습니다. 불산은 불화수소를 물에 녹인 약산 중 하나이며 불소의 높은 전기음성도로 인해 강한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물질입니다. 이로 인해 물에 잘 용해되며 다른 할로겐화수소에 비해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습니다. 실리콘이나 유리를 녹일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자극적인 냄새가 나며 반응성과 독성이 매우 큽니다. 강산으로 불리는 염산, 질산, 황산보다 산성도는 낮지.. 2020. 3. 1.
독극물 - 비소에서 복어독, 보톡스까지 독극물이란? 독극물, 또는 독은 무엇일까요? 독극물의 과학적 정의는 ‘비교적 적은 양으로 유기체 내에서 기능장애를 일으키게 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비교적 적은 양'이라는 단어는 상당히 과학적이지 못하고 주관적입니다. 어떤 물질이 독이 되느냐 또는 약이 되느냐는 결국 그 물질을 사용하게 되는 양과 연관되기 때문입니다. 사실 우리 주위를 잘 살펴보면 많이 섭취할 시 ‘독극물’이 될 법한 물질은 제법 많이 보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소금의 경우 성인 기존 200 g 이상 섭취하게 될 경우 목숨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항암제도 사용양에 따라 독극물이 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암세포는 일반 세포보다 빠르게 분열하는데 항암제는 빠르게 분열하는 종양세포에 더 민감하게 작용하여 암세포를.. 2020. 2. 24.
반응형